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Python-기초] 출력함수 - 함수

Programming language/PYTHON

by 주초위왕 2023. 2. 22. 04:02

본문

파이썬 첫번째 시간.

 

0. 함수란?

    - 파이썬에서 쓰는 함수는 이름 뒤에 항상 소괄호가 있으며, 코드를 볼 때 함수를 써야하는지 판단하기도 한다.

    - 자주 쓰는 기능을 간편하게 모아 놓은 것.

  

1. print( ) 함수

   함수 중에 print( ) 함수는 소괄호 안에 있는 을 출력해주는 기능을 한다.

 

2. 데이터 타입(Data type)

    파이썬에서는 많은 데이터 타입이 존재한다. 정수와 실수를 나타내는 숫자 자료형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열 자료형,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      bool 자료형, 또 필요에 따라서 쓰는 자료형 리스트, 딕셔너리, 세트, 튜플이 존재한다.

    값의 종류는 type 이라고 부르며, 자료형 이라고 부른다.

 

  - Int(정수)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정수라 부른다

print(10)  #int
print(20)  #int
print(-10)  #int
#괄호 안에 값을 넣으면 int라는 출력이 뜬다. 10, 20, -10 모두 int(정수) 라는 뜻.

 

  - float(실수)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실수라 부른다

print(-10)  #float
print(3.1)  #float
print(9.999)  #float
#괄호 안에 값을 넣으면 float라는 출력이 뜬다. -10, 3.1, 9.999 모두 float(인수) 라는 뜻.

 

  - str(문자열)

print('1', '2', '3')  #str
print('도마뱀')  #str
print('pizza')  #str
#문자열 값을 알려주려면 ' ' 안에 감싸주면 된다.

 


  - bool(자료형) : 참(True), 거짓(False)을 나타낸다.

    True나 False를 변수로 선언하고 type을 통해서 자료형을 확인 해보면 bool이라고 출력이 된다.

    주의할 점은 대문재로 써야 bool타입의 자료값이 출력이 된다라는 점.

 

a = True # 참
b = False # 거짓

type(a)
# 출력을 헸을 때 bool타입이 나옴

 

  - list : int, str, float 등 나열해서 저장이 가능하다. (요소값의 생성, 삭제, 수정 가능)

a = []
b = [1, 4, 8]
c = ['life', 'cat', 'apple']
d = [1, 2, 'Apple', 'is']
e = [1, 2, ['Apple', 'is']]

 

  - tuple : list와 다르게 tuple은 ( )로 감싸고 리스트는 요소 값의 생성, 삭제, 수정이 가능하지만 튜플은 요소 값을 바꿀 수 없다.

    큰 차이점이 있다면 하나의 요소만 가져도  콤마(,)를 붙여야 한다는 것 또는 t4 = 1, 2, 3 와 같이 ( )를 생략이 가능하다.

#tuple

 t1 = ()
 t2 = (1,)
 t3 = (2, 4, 8)
 t4 = 1, 2, 3
 t5 = ('a', 'b', ('ab', 'cd'))

 리스트와 튜플의 차이점은 요소값을 변화하냐인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요소값이 변하지않는걸 바란다면 튜플을 사용하고

 반대인 경우 튜플을 사용한다.

 

- dict(딕셔너리) : 사전형 데이터를 의미하는데 key와 value를 1대 1로 대응시킨 형태이고,

  하나의 key에는 하나의 value만이 대응됩니다. key값은 변하지 않으며 value 값은 변경이 가능해

  key-value쌍 자체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게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.

dic = {1:"I", 2:"My", 3:"Me", 4:"Mine"}

print(dic[1])
print(dic[2])
print(dic[3])
print(dic[4])

실행결과
I
My
Me
Mine

  위 형태는 정수형 2을 key값으로 하고, "My" 안을 value값으로 문자열을 저장한 형태이며, 전체를{ }로 감쌉니다.

  (하나의 딕셔너리에 key 키값이 동시에 저장이 되는게 불가능합니다.)

 

  - set(집합) : 집합에 관련된 것을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료형.

    순서가 정해진게 없고 딕셔너리와 비슷하지만 key가 없고 값만 존재하는 형태

    set( ) 키워드 혹은 { }중괄호를 이용합니다

s1 = set({1, 2, 3})
s2 = set([1, 2, 3])
s3 = {1, 2, 3}

 

 

 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